경제용어사전

에너지 목표관리제

 

기업가 정부가 에너지사용량 또는 효율에 대한 목표를 협의해 설정하고, 이행계획, 관리체계 등을 통해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제도를 말한다. 목표설정 및 이행의 자발성에 따라 자발적 협약(VA, Voluntary Agreements)과 정부협약(NA, Negotiated Agreements)으로 구분한다. 이행실적에 대한 측정·보고·검증을 통해 인센티브와 패널티를 부과해 에너지 절감을 달성하도록 유도한다. 이 제도는 2010년부터 연간 에너지 사용량 50만TOE 이상의 사업장에 적용된다.

  • 역학조사관

    역학조사는 특정 감염병 발생 원인과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역학조사관은 역학조사를 통해 ...

  • 인구 보너스[Demographic Bonus]

    전체 인구중에서 생산연령층은 많고, 어린이와 고령자는 적어 고도 경제성장이 가능한 상태를 ...

  • 아나시스2호[Anasis-II]

    한국군의 첫 군용 통신위성. 2020년 7월 20일(미국 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 양자난수생성칩셋[QRNG chip]

    예측할 수 없는 OTP 난수를 생성하는 칩. 2020년 SK텔레콤이 양자암호통신 전문 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