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호지수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정보보호진흥원이 개인정보관리에 대한 내·외부적 상시점검 체계를 마련하는 한편 개인정보보호 수준 측정을 위해 개발한 지수로 2009년 3월부터 발표되고 있다. 이 지수는 기업과 개인 영역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각 영역별로 6개의 세부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기업영역 세부지표는 개인정보취급방침 고지율, 개인정보보호조직 구성률, 개인정보보호교육 실시율, 암호화 통신율, 암호화 저장률, 물리적 접근통제율로 구성되어 있다. 개인영역 세부지표는 개인정보취급방침 확인율, PC 및 웹사이트 비밀번호 관리율, 공인인증서 사용률, 악성코드 제거프로그램 사용률, 인터넷 보안설정률, OS 업데이트율로 구성되어 있다.
-
고용절벽
기업들의 고용여력이 급감해 일자리가 크게 줄어드는 현상. 통상임금의 확대, 법정 정년의 연...
-
글램핑[glamping]
`화려한, 비싼’을 뜻하는‘glamorous’와 ‘야영’이라는 뜻의 ‘camping’의 합...
-
고효율 에너지 기자재 인증제
일정기준 이상의 에너지사용 제품에 대하여 인증해 주는 효율보증제도. 인증제품에 고효율기자재...
-
국유지신탁제도
국가가 유휴국유지를 신탁회사에 맡겨 개발과 관리를 대신하게 하고 이에 따른 이익은 국가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