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핫머니

[hot money]

각국 간의 단기 금리의 차이 또는 환율의 차이에 의한 이익을 목적으로 국제 금융 시장을 이동하는 매우 불안정한 단기 자금을 말한다. 국내 시장에서 단기적인 차익을 따라 이동하는 단기적인 투기 자금도 핫머니라고 부른다.

1930년대 각국이 금본위제를 이탈함에 따라 외환 시장의 변동이 심해지자 이러한 자본 이동이 발생했고 1935년 프랭클린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이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핫머니에는 각국의 단기 금리의 차이와 환율의 차이에 따른 투기적인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것과 국내 통화의 불안을 피하기 위한 자본 도피 등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핫머니의 특징은 자금 이동이 일시에 대량으로 이뤄진다는 점과 자금이 유동적인 형태를 취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단기 자금의 이동은 각국의 외화 수급, 물가, 주가 원자재 가격 등의 급등락을 초래해 국가 경제의 균형을 파괴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1백명 미만의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아 금리와 환율 예상을 교묘히 조합한 도박성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헤지펀드가 대표적이다.

  • 해외공사보험

    해외공사계약 체결후 그 공사에 필요한 물품의 수출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공사대금을 받을 수 ...

  • 화의

    부도위기에 몰린 기업이 법원의 중재 감독 아래 채권자들과 협정을 맺고 언제까지 어떤 방법으...

  • 후룬퉁[滬倫通]

    중국의 상해(후) 증권거래소와 영국의 런던(룬) 증권거래소에서 주식 교차거래를 허용하는 제...

  • 황의 법칙[Hwang''s Law]

    황창규 삼성전자 반도체 사장이 2002년 한 반도체 학술회의에서 발표한 것. 휴대전화, 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