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금리
[spread]은행 등 금융회사가 채권이나 대출금리를 정할 때 기준금리에 덧붙이는 위험가중 금리를 말하며, 스프레드(spread)라고도 한다.
은행 인건비 등 업무원가, 위험비용, 목표이익률 등을 합쳐 산출한다.
위험이 적으면 가산금리가 낮아지고, 위험이 많으면 가산금리는 높아진다. 기준금리는 큰 변동이 없으므로 통상시장에서는 가산금리의 변동을 체크하게 된다. 가산금리가 오르면 그만큼 채권의 위험도가 높아졌고, 가격은 떨어졌다는 의미이다.
양도성예금증서(CD)연동 주택대출 금리는 CD금리가 기준금리이고 은행은 조달비용 영업이윤 고객신용도 등을 고려해 가산금리를 정한다. 주택대출의 가산금리는 통상 1.5~3% 수준이며 고객 신용도가 높을수록 가산금리가 낮아진다. 가산금리의 단위로는 베이시스 포인트(basis point)가 사용되는데 bp는 가산금리의 % 아래 두자리째가 기준점이다. 즉 1bp는 0.01% 포인트이고 가령 3.45%의 가산금리는 345bp라고 읽는다.
관련어
- 동의어스프레드
-
가격통제[price control]
정부나 공공기관이 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여 가격의 상한선이나 하한선을 ...
-
고속도로 주행지원 시스템[highway driving assist, HDA]
고속도로에서 앞차와의 간격과 차선을 인식해 차량이 차선을 스스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
-
고용자 셀프 서비스[Employee Self Service]
기존의 인사관리 시스템처럼 사원들이 인사관리에 관한 업무에 접근할 경우 모든 과정이 인사부...
-
개호보험
신체장애나 질병 등으로 인해 중증의 후유장애가 남아 스스로 일상생활을 꾸려 나가지 못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