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시뇨리지

[seigniorage]

화폐에 대한 독점적 발권력을 갖는 중앙은행이나 국가가 화폐 발행을 통해 획득하는 이득을 의미한다.

한국은행의 ‘경제 용어 700선’에서는 시뇨리지에 대한 예를 이렇게 설명한다. “금속 화폐 시대에는 절대군주가 금은 등을 소재로 화폐를 제조해 유통하는 과정에서 화폐를 생산 비용보다 높은 액면 가치에 유통시킴으로써 시뇨리지가 발생했다.”

한편 명목 화폐 등장 이후에는 중앙은행이 화폐 태환력을 보장하기 위해 화폐 발행액을 부채로 인식하게 됐다. 이에 따라 화폐 시뇨리지는 수익으로 간주하지 않고 화폐 발행을 통해 취득한 유가증권 등 운용 수익에서 화폐 제조비를 차감하는 방식으로 시뇨리지로 계상했다.

전통적으로 시뇨리지는 정부의 재정 적자 보전 수단으로 인식돼 왔지만 최근에는 중앙은행의 재무적 독립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통화 정책 운영에 필요한 재원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 사업화연계연구개발[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 R&BD]

    기존의 R&D에 사업화(business)를 추가한 것. 상업적 목적을 위해 연구(R&D)를...

  • 사모 크레디트

    사모 크레디트 전략은 기업의 주식(equity)에 투자하는 사모펀드(PEF)와 달리 부채(...

  • 소프트 로봇[soft robot]

    특수 실리콘, 플라스틱, 고무 등 말랑말랑한 소재로 제작해 유연성과 신축성을 더한 로봇. ...

  • 식료품 사막[food desert]

    식료품 사막은 신선한 식료품과 건강에 좋은 식품에 대한 접근성이 제한된 지역을 지칭하는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