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마셜의 K

[Marshalian K]

한 나라의 명목 GNP(국민총생산)에 대한 통화공급량 잔고의 비율. 통화공급의 적정수준을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통화공급의 범위는 현금통화, 예금통화, 준통화(정기성예금), 양도성예금(CD)의 합계액인데 정기예금을 제외하거나 우편예금 등을 더한 숫자가 사용되기도 하고, 명목 GNP 대신 명목국민소득이 쓰이기도 한다. 마셜의 K는 시중유동성이나 금융정세를 판단하는 자료로 사용되는데, 공급량이 늘어나면 마셜의 K 수치는 올라가고 인플레, 물가상승 등으로 이어진다고 한다.

  • 머크앤드컴퍼니[Merck & Co., Inc., Merck Sharp & Dohme, MSD]

    머크앤드컴퍼니(영어: Merck & Co., Inc.)는 화이자와 함께 미국을 대표하는 글...

  • 메모리[memory]

    컴퓨터 내의 전자장치로 활발히 작업하는 동안에 정보가 저장되는 곳이다. 과거에는 코어라고 ...

  • 매슬로의 욕구단계[Maslow’s hierarchy of needs]

    중요성 순서에 의해 정리된 인간 동기욕구의 5단계. 미국의 심리학자 에이브러햄 매슬...

  • 몰핑 기법

    컴퓨터로 하여금 일부 사물의 위치와 특성을 기억케 하면서 새로운 형상을 만들어내는 최첨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