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피크 오일 이론

[peak oil theory]

원유생산 능력이 한계에 도달해 조만간 원유생산이 최고점에 이른 뒤 급감하는 과정에서 유가가 크게 오르고 세계경기는 대공황과 인류는 대규모 기아사태를 맞게 된다는 이론을 말한다. 이 이론의 전문가인 포스트카본연구소의 리처드 하인버그는 원유 생산이 2005년 5월 고점을 찍었으며 2007년 현재 하루 8500만배럴 수준인 원유 생산량이 2010년부터 점진적인 감소세를 보이게 돼 2030년께면 3000만배럴 수준까지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세계 경제는 침체기를 맞고 화학비료를 사용하는 농업이 타격을 입으면서 식량 생산도 급감, 수십억 명이 굶어죽는 사태가 빚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피크 오일 이론의 반대론자들은 시추 및 채굴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으로 경제성이 없어 개발되지 않은 유전들이 새로운 원유 공급처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 폴리머 유기발광 다이오드[Polyme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OL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일종으로 유리 및 플라스틱 기판에 놓인 폴리머 물질로 구성되어...

  • 표준비율[standard ratio]

    표준비율이란 한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재무비율을 비교, 평가할 기준...

  • 피터 뵈케[Peter Boettke]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 1960년 미국 뉴저지주 로웨이 출생으로, 몽펠르랭 소사이어티 ...

  • 폐쇄이용자그룹[Closed User Group, CUG]

    IPTV의 양방향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만의 모임. 인터넷의 카페가 IPTV에서 구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