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로컬가격제도

 

수출용으로 쓰이는 원자재의 판매가격을 내수가격과 구별해 결정해온 제도. 수출을 장려하기 위한 조치로 주로 철강 석유화학 섬유원료 분야에서 로컬가를 적용해왔다. 로컬가를 적용해야 하는 법적 규정은 따로 없지만 1970년대부터 관행으로 굳어졌다. 따라서 포철 등 원자재 생산업체는 국제시황, 환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로컬가격을 정한다. 수요업체들은 로컬가격이 내수가격보다 낮을 경우 수출을 확대한다는 명목으로 로컬제품 구매비율을 높여 왔다.

  • 리얼옵션[Real Option]

    기업이 특허권등 배타적 권리나 핵심기술, 판매망 등을 이용, 미래에 획득할 수 있는 전략적...

  • 리눅스[linux]

    핀란드의 대학생 리누스 토발즈가 1991년 선보인 컴퓨터 운영체제(OS)다. 처음에는 자신...

  • 로터세일[Rotor Sail]

    선박 갑판에 설치하는 원기둥 형태의 구조물. 선박 주변 바람과의 압력차를 이용해 추...

  •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Ramsar Convention]

    람사르협약 회원국들이 지구 차원의 습지보전 상황을 평가하고 공동의 정책을 개발하는 국제 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