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퍼 곡선
[Laffer curve]세율과 정부의 조세 수입 간의 관계를 설명한 곡선으로, 미국의 경제학자 아서 래퍼(Arthur Laffer)에 의해 주창됐다. 래퍼는 한 나라의 세율이 적정 수준을 넘어 비표준 지대에 놓여 있을 때에는 오히려 세율을 낮춰 주는 게 경제 주체들에게 창의력과 경제 의욕을 고취해 경기와 세수를 동시에 회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래퍼는 일정 수준의 세율까지는 정부의 조세 수입이 증가하지만, 세율이 적정수준(최적조세율)을 초과하면 경제주체들의 경제활동 의욕이 감소해 조세 수입도 감소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므로 이때 세율을 낮춤으로써 세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1980년대 미국 레이건 행정부의 조세인하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하지만 이로 인해 미국 정부는 거대한 재정적자를 안게 되는 부작용을 겪기도 했다.
-
라이선스 생산[license production]
다른 제조업체로부터 제품을 설계도(제조도면)와 제조에 관한 노하우의 제공을 받아 생산하는 ...
-
롱쇼트전략지수 ELB
증권사가 만든 롱쇼트전략지수가 상승할수록 투자수익률도 높아지도록 설계한 상품. 롱쇼트전략지...
-
레벨업[level-up]
사람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한정된 수입 내에서 질적가치 위주의 소비를 하는 현상. 1000만...
-
리눅스[linux]
핀란드의 대학생 리누스 토발즈가 1991년 선보인 컴퓨터 운영체제(OS)다. 처음에는 자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