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래퍼 곡선

[Laffer curve]

세율과 정부의 조세 수입 간의 관계를 설명한 곡선으로, 미국의 경제학자 아서 래퍼(Arthur Laffer)에 의해 주창됐다. 래퍼는 한 나라의 세율이 적정 수준을 넘어 비표준 지대에 놓여 있을 때에는 오히려 세율을 낮춰 주는 게 경제 주체들에게 창의력과 경제 의욕을 고취해 경기와 세수를 동시에 회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래퍼는 일정 수준의 세율까지는 정부의 조세 수입이 증가하지만, 세율이 적정수준(최적조세율)을 초과하면 경제주체들의 경제활동 의욕이 감소해 조세 수입도 감소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므로 이때 세율을 낮춤으로써 세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1980년대 미국 레이건 행정부의 조세인하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하지만 이로 인해 미국 정부는 거대한 재정적자를 안게 되는 부작용을 겪기도 했다.

  • 로컬 디밍[local dimming]

    화면 분할 구동을 뜻한다. 백라이트를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 휘도를 영상 신호와 연계해 영...

  • 라이신[lysine]

    체내에서 합성되지 못하고 외부로부터 섭취해야 하는 필수 아미노산의 일종. 사료용 동물성장 ...

  • 런치플레이션[lunchflation]

    점심(lunch)과 가격 급등(inflation)을 결합한 신조어로 미국에서 생겨났다. ...

  • 리플레이션[reflation]

    경제가 디플레이션(deflation) 상태에서 벗어낫지만 심각한 인플레이션(infla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