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래퍼 곡선

[Laffer curve]

세율과 정부의 조세 수입 간의 관계를 설명한 곡선으로, 미국의 경제학자 아서 래퍼(Arthur Laffer)에 의해 주창됐다. 래퍼는 한 나라의 세율이 적정 수준을 넘어 비표준 지대에 놓여 있을 때에는 오히려 세율을 낮춰 주는 게 경제 주체들에게 창의력과 경제 의욕을 고취해 경기와 세수를 동시에 회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래퍼는 일정 수준의 세율까지는 정부의 조세 수입이 증가하지만, 세율이 적정수준(최적조세율)을 초과하면 경제주체들의 경제활동 의욕이 감소해 조세 수입도 감소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므로 이때 세율을 낮춤으로써 세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1980년대 미국 레이건 행정부의 조세인하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하지만 이로 인해 미국 정부는 거대한 재정적자를 안게 되는 부작용을 겪기도 했다.

  • 리먼 사태

    150년 역사를 가진 월가의 대표적 투자은행인 리먼 브라더스가 주로 모기지 주택 담보 투자...

  • 리스크 프리미엄[risk premium]

    투자자가 위험 부담을 감수하는데 따른 수익

  • 레버리지 ETF[leveraged ETF]

    선물과 옵션 등 의 투자에 파생상품과 차입을 이용하는 ETF를 말한다. ETF가 추종하...

  • 라이브네이션[Live Nation]

    글로벌 1위의 미국 공연업체로, 공연 기획, 광고 및 티켓 판매 등을 판매해 수익을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