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탄소 중립

[carbon neutrality]

개인이나 회사, 단체가 배출한 만큼의 온실가스(탄소)를 다시 흡수해 실질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움직임의 하나다.

'넷 제로(net zero), '탄소 제로 (carbon zero)’라고도 한다. 여기서 탄소는 석유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일컫는다.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우선,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이고, 재생 에너지 사용을 늘려야 한다.

또한,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수송, 산업, 건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산림을 보호하고, 탄소 포집 및 저장(CCS) 기술을 개발하여 온실가스를 흡수 및 제거해야 한다.

한국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할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정부는 2025년까지 재생 에너지 발전 비중을 30%까지 확대하고,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40% 감축하는 등의 계획이다. 이와같은 탄소 중립 목표는 2020년 10월 28일 국무회의에서 결정됐다.

  • 텔레마케팅[telemarketing]

    촉진과 촉진반응을 위해 상호작용식 매체로서 전화를 사용하는 것. 응답 수단으로서의 텔레마케...

  • 타이젠[Tizen]

    삼성전자와 인텔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타이젠 연합'에서 개발한 오픈 소스 운영체제(OS)...

  • 통신 프로토콜[protocol]

    프로토콜은 원래 외교상의 언어로서 국가간의 교류를 원활하게 하는 외교상의 의례나 국가간의 ...

  • 퇴직예고제

    종업원이 퇴직을 원할 때 일정 기간 이전에 고용주에게 퇴직 의사를 미리 통고해야 하는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