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동의명령제

 

공정거래법을 위반한 사업자와 행정부가 소비자 피해 구제 및 위반 행위 중지에 대해 합의하면 사건을 종결할 수 있는 제도로 미국 등에서 시행되고 있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행정부는 조사비용 절감, 소비자는 신속한 피해구제, 사업자는 법적소송에 따른 부담과 기업이미지가 실추되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경제법인 공정거래법의 경우 일반 형사법과는 달리 위법판단이 어렵고 입증에 시간이 걸린다는 점에서 한층 실용적인 제도로 평가받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06년 9월 정부가 기업환경개선대책을 발표하면서 동의명령제 도입 추진 의사를 밝혔지만 법무부에서 형법 체계와 상충된다는 이유로 반대해 도입이 무산된 바 있다.

  • 대체에너지[alternative energy]

    대체 에너지란 당초 석유를 대체하는 원자력, 석탄, 천연가스, 신 에너지원을 총칭하는 의미...

  • 동전주

    주가가 1000원 미만이라 동전으로 살 수 있는 주식. 미국에서 1달러 미만 주식을 뜻하...

  • 도쿄 모터쇼[Tokyo Motor Show]

    일본 동경에서 개최되는 자동차 전시회. 1954년 전일본자동차쇼라는 이름으로 첫 전시회가 ...

  • 디지로그[digilog]

    디지털(Digital) 기기에 아날로그(Analog)의 합성어로 디지털 기술과 아날로그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