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탄소펀드

[carbon fund]

온실가스감축을 위한 프로젝트에 투자하여 탄소배출권(CER)을 확보하고 이를 배출권 거래시장에 판매하여 수익을 얻는 펀드를 말한다. 국제적으로 운영되는 탄소펀드는 펀드의 조성에 따라 크게 공적기금 형태와 민간기금 형태로 나뉜다. 즉, 네덜란드, 독일, 오스트리아 등은 정부가 주체적으로 운용하고 있으며, 아시아 탄소펀드(ACF)는 순수 민간펀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세계은행이 운영하는 표준카본펀드(PCF)와 일본탄소펀드는 민관 혼합펀드의 대표적인 형태이다. 한국에서는 2008년 8월 지식경제부와 에너지관리공단이 760억원규모의 제1호 탄소펀드를 조성 태양광사업에 투자를 한바 있다.

  • 토지수익연계채권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미분양 토지를 기초자산으로 발행하는 채권으로,1차적으로 표면금리를...

  • 테이퍼링[tapering]

    연방준비제도(Fed)가 양적완화 정책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해나가는 것. 출구전략의 일종...

  • 태양전지[solar cell]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기 위해 제작된 광(光) 전지. 크게 ''태양열 전지''와 '...

  • 테크파탈[tech fatale]

    기술(Tech)과 팜므파탈(Femme Fatale : 치명적 매력을 가진 여자)을 합친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