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탄소펀드

[carbon fund]

온실가스감축을 위한 프로젝트에 투자하여 탄소배출권(CER)을 확보하고 이를 배출권 거래시장에 판매하여 수익을 얻는 펀드를 말한다. 국제적으로 운영되는 탄소펀드는 펀드의 조성에 따라 크게 공적기금 형태와 민간기금 형태로 나뉜다. 즉, 네덜란드, 독일, 오스트리아 등은 정부가 주체적으로 운용하고 있으며, 아시아 탄소펀드(ACF)는 순수 민간펀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세계은행이 운영하는 표준카본펀드(PCF)와 일본탄소펀드는 민관 혼합펀드의 대표적인 형태이다. 한국에서는 2008년 8월 지식경제부와 에너지관리공단이 760억원규모의 제1호 탄소펀드를 조성 태양광사업에 투자를 한바 있다.

  • 태양광 발전[solar photovoltatic power generation]

    반도체 화합물 소자인 태양전지를 이용해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시켜 사용하는 것. 무한정, 무...

  • 탄소배출권 시장

    이산화탄소, 질소, 육불화황 등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인 탄소배출권을 거래하는 시...

  • 투자형 ISA법

    ISA를 통해 투자하면 2023년부터 부과 예정인 주식 양도소득세를 비과세하는 한편 주식 ...

  • 테크 스타트업[tech start-up]

    신기술 기반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해내는 신생 벤처기업. 전자상거래 등 서비스형 스타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