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플라자합의

[Plaza Accord]

1985년 미국, 프랑스, 독일, 일본, 영국(G5) 재무장관이 뉴욕 플라자 호텔에서 외환시장에 개입해 미달러를 일본 엔과 독일 마르크에 대해 절하시키기로 합의한 것을 말한다.

1980년 중반까지 미 달러화는 미국의 대규모 적자에도 불구하고 고금리 정책과 미국의 정치적, 경제적 위상때문에 강세를 지속하고 있었다. 미국은 국제경쟁력이 약화됨에 따라 자국 화폐가치의 하락을 막기 위해 외환시장에 개입할 필요가 있었고 다른 선진국들은 미 달러화에 대한 자국 화폐가치의 하락을 막기 위해 과도한 긴축통화정책을 실시해야 했으며 그 결과 경제가 침체되는 상황을 맞게 되었다. 이에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및 일본은 1985년 9월 뉴욕의 플라자 호텔에서 미 달러화 가치 하락을 유도하기 위하여 공동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하기로 합의했다.

플라자 합의 이후 2년간 엔화와 마르크화는 달러화에 대해 각각 65.7%와 57% 절상됐다. 그러나 그후 미 달러화의 가치하락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는 개선되지 못했고 독일과 일본 등이 국제 경쟁력 상실을 우려하여 자국 화폐의 절상에 주저함으로써 플라자 합의는 더 이상 이행되지 않았다. 하지만 엔화 가치의 상승(엔고)은 일본 기업의 수출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잃어버린 10년’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파생창업

    기초연구가 축적돼 그 결과를 이용해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나는 벤처기업의 창업을 말한다. 연구...

  • 페이아웃[payout]

    기본 마케팅 지출내용에 동등한 투자 회수액. 회사는 새 제품이나 서비스도입 및 출하시 기대...

  • 페이-퍼-게이즈[pay-per-gaze]

    2013년 8월 구글이 특허 출원한 눈동자 추적 기술. 이 기술을 활용하면 구글이 향후 내...

  • 패권주의[hegemony]

    본래 패권이란 ‘무력으로 천하를 다스리는 자의 권력’이라는 뜻이다. 강력한 군사력으로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