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돈세탁

 

마약, 밀수, 무기 거래와 같은 각종 범죄나 뇌물 등 부정비리로 조성된 불법자금을 금융기관을 통해 깨끗한 돈으로 가장하는 것. 통상 자금의 출처가 드러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다른 사람 명의의 여러 금융기관 계좌로 자금을 복잡하게 옮기고 중간 중간에 거액을 현금으로 입출금하는 등의 수법을 쓴다.

이같은 돈세탁 과정을 차단하기 위해 미국의 경우 1만달러 이상의 현금 입출금은 모두 국세청에 보고하도록 했다. 영국은 5천파운드(약 7백만원) 이상을 은행에 예치할 경우 출처와 조성경위를 밝히도록 돼 있다. 독일은 3천마르크(약 1천5백만원)가 넘는 예금에 대해서는 돈의 출처를 은행이 확인토록 하는 등 각국이 돈세탁에 대한 규제를 갈수록 강화하는 추세다. 돈세탁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아프센티우 키프로스 중앙은행 총재는 최근 전세계의 돈세탁 규모가 무려 1조달러나 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 대외경제협력기금[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EDCF]

    한국이 개도국들의 산업발전과 경제안정을 지원하고 이들 국가와 경제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19...

  • 다운 로드[down load]

    전자 게시판에 있는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자신의 컴퓨터로 가져오는 것을 말한다. 전자 게시...

  • 대외수취요소소득

    우리나라의 국민이 외국에서 노동이나 자본 등의 생산요소를 제공한 대가로 받은 소득을 말한다...

  • 도시형 업종

    대도시 지역에서 공장을 신·증설할 때 입지규제나 세제상 불이익 등을 덜 받는 업종. 공업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