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미수거래

 

전체 주식매입대금의 일부(통상적으로 40% 이상)에 해당하는 위탁증거금과 주식을 담보로 주식을 외상으로 사는 제도. 이틀 뒤인 결제일까지 외상으로 산 나머지 금액에 해당하는 돈을 갚지 않으면 증권사가 반대매매를 통해 계좌에 있는 주식을 처분한다.
월요일에 미수거래를 한 후 수요일까지 돈을 입금하지 않으면 목요일 아침 증권사가 주식을 시장가로 매각해 대출금을 회수한다.

위탁매매 미수금이란 미수거래를 하고 만기인 3거래일까지 상환되지 않은 금액이다.

미수거래는 증거금율 설정 등 간단한 절차를 거치면 최대 5배 레버리지를 일으킬 수 있다. CFD계좌(2.5배)의 두 배에 달한다. 투자 원금 20만원으로 100만원어치 주식을 살 수 있다. 고객 등급과 종목마다 증거금율이 다른데, 통상 20~40% 증거금율이 적용된다.

레버리지 한도가 높은 만큼 리스크도 크다. 주가가 급락한 상태로 반대매매가 이뤄질 경우 투자원금을 넘어선 손실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른바 ‘깡통계좌’가 되는 것이다.

  • 무역협상촉진권한[Trade Promotion Authority, TPA]

    국제무역협상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미 의회가 미국 대통령(행정부)에게 부여하는 ...

  • 미니밀[mini-mill]

    열연코일 등 판재류를 생산할 수 있는 전열을 이용한 노(저항로, 아크로, 유도로 따위가 있...

  • 만기일

    각 선물상품마다 계약이 종료돼 인수 및 인도가 이뤄지는 시점을 말한다. 만기일이 가까운 선...

  • 메트로 섹슈얼[metro sexual]

    패션에 민감하고 외모에 관심이 많은 남성을 말한다. 이들은 외모에 대한 투자를 당연시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