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환헤지

[FOREX Hedge]

환리스크 (환율 변동으로 생길수 있는 손실위험)을 회피하기(hedge) 위한 행위를 뜻한다. 미래 매매환율을 현재 수준으로 미리 고정하는 거래 방식인 셈이다.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선물환''이다. 수출업체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은 선물환을 매도하는 것이고 수입업체들은 선물환을 매입하는 것이다.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통화선물을 이용한 헤지도 가능한데 통화선물은 규격화된 상품이므로 금액이나 만기 등에서 다양한 업체들의 요구에도 부응하기 힘들어서 실제로는 선물환을 많이 사용한다.

통화옵션을 이용한 헤지도 다양한데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키코 옵션도 환헤지의 일종이다. 반면에 환차익을 얻기 위해 환헤지를 하지 않는 것을 ‘환노출’이라고 한다.

  • 한국형위성발사체[Korea Space Launch Vehicle, KSLV]

    정부가 한국 기술로 제작한 위성을 우주로 쏘아 올리기 위해 개발하고 있는 한국형 우주발사체...

  • 항상소득가설[permanent income hypothesis]

    항상소득이 소비를 결정한다는 이론으로 미국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이 제창한 소비함수이론이다...

  • 한국산업은행[Korea Development Bank]

    1954년 전후복구를 위한 중요 산업자금 공급기관으로 정부가 자본금 전액을 출자하고 일제 ...

  • 항바이러스제

    체내에 침입한 바이러스의 작용을 약하게 하거나 소멸하게 하는 약을 말하며 인터페론을 비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