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달러평균원가법

[dollar-cost averaging]

적은 돈을 가진 소액투자자들에게 적합한 투자법으로 투자자의 정기적 수입 가운데서 일정 금액을 장기에 걸쳐 특정 주식에 정기적으로 투자해나가는 장기투자방법이다. 이 방법은 가장 단순한 포뮬러 플랜(formula plan)의 한 방법으로 주식매매 시기를 분산시킴으로써 일시적인 대규모 매입으로 생길지도 모를 위험을 방지하는 데 효과가 있다. 가격의 고저에도 불구하고 일정액의 자금을 자기에 걸쳐서 저기적으로 특정주에 투자해가는 방법으로 일정액을 투자하기 때문에 주가상승기에는 매입하는 주식수가 적어지고 하락기에는 많아져서 소유주가의 평균매입가격이 시장가격보다 낮아진다. 투자기간이 길수록 성과를 얻을 수 있다.

  • 대출행태지수

    대출태도, 신용위험, 대출수요에 대한 금융기관의 판단을 5개 응답항목(크게 완화[증가], ...

  • 대체가능물품[fungible goods or materaials]

    곡물, 원유, 철강재, 볼트, 너트, 베어링, 플라스틱레진 등과 같이 물품의 특성, 기능,...

  • 디트로이트 모터쇼[North American International Auto Show]

    미국 디트로이트 자동차 딜러협회가 매년 1월에 디트로이트에서 개최하는 국제자동차 전시회로 ...

  • 대부업

    은행·협동조합·보험회사·금융회사·상호저축은행 등 예금 취급기관과는 달리 예금을 취급하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