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농지기본법

 

농지의 소유와 이용 등에 관한 포괄적인 내용을 담게 될 농지에 관한 기본법. 쌀시장 개방에 따른 국내 농업의 구조개선과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입법이 추진되고 있다. 현재 농지개혁법, 농지보전법, 농지임대차관리법 등에 흩어져 있는 농지관련법 규정들을 한데 묶어 농지관리를 효율화함으로써 국내 농업의 경쟁력을 강화한다는게 이 법 제정의 취지다. 주요 내용은 현재 경자유전 원칙에 따라 농민만이 소유토록 돼 있는 농경지를 농민이 아닌 영농법인 등도 가질 수 있도록 소유자격을 확대하고 농지소유상한도 더욱 높여 기업에의한 대규모 영농이 가능하게 한다는 것 등이다. 또 농지취득 전 농지 소재지에 6개월 이상거주해야 한다는 등의 취득절차를 간소화하고 농지를 다른 목적에 사용하는 전용에 관한 규제도 완화한다는 내용이 포함될 예정이다.

  • 낙태선박

    네덜란드의 급진적 낙태옹호단체인 ''위민온웨이브스(WoW)'' 대표이며 의사인 레베카 곰퍼...

  • 넥스트 G얼라이언스[Next Generation Alliance]

    미국통신산업협회(ATIS)가 6G 기술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 2020년 10월말 창립한 ...

  • 납품대금 연동제

    원도급업체와 하청업체 간 하도급 거래 과정에서 원자재 가격이 변동할 경우 이를 납품 대금에...

  • 노마드족[Nomad]

    목민, 정착하지 않고 떠돌아다니는 사람을 의미한다. 노마드족이란 용어는 경제의 여러 분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