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식형펀드 수수료

 

은행이나 증권사들이 주식형 펀드를 판매, 운용하는 대가로 챙기는 수수료. 보수율이라고도 한다. 평균수수료는 2004년 1.82%에서 2005년 9월 현재 2.5%로 높아졌다. 이는 매년 투자액의 2.5%를 수수료로 뗀다는 것을 말한다. 주식형 펀드의 수수료는 판매수수료 1.8%, 운용수수료 0.6%, 수탁수수료 0.1%로 구성된다. 펀드 투자액이 1000만원이라면 18만원은 은행이나 증권사가 챙기고, 6만원은 자산운용사가 떼며, 1만원은 결제 은행이 가져간다. 판매만 전담하는 은행·증권사가 투자전략을 세우고 직접 수익을 내야 하는 자산운용사보다 3배 많은 수고비를 받는 셈이다. 한편 펀드 선진국인 미국의 연평균 보수율은 대체로 1.25% 정도를 유지, 우리나라의 절반정도에 해당되는 수수료를 받고 있다.

  • 정부출연기관

    정부가 설립에 필요한 돈과 평상시 쓰는 예산을 출연 형식으로 지원해 주는 기관을 말한다. ...

  • 장부상 이익[paper profit]

    미실현이익으로 불리는 것으로 자산의 취득원가와 비교하여, 자산을 계속 보유함으로써 점점 시...

  • 자산부채종합관리

    환율예상에 따라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과 부채포지션을 조정함으로써 환위험을 효율적으로 ...

  • 제조업체 브랜드[PNB]

    유통사와 제조사가 공동 개발하는 브랜드 상품. 제조사 브랜드를 그대로 활용하는 PNB는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