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식형펀드 수수료

 

은행이나 증권사들이 주식형 펀드를 판매, 운용하는 대가로 챙기는 수수료. 보수율이라고도 한다. 평균수수료는 2004년 1.82%에서 2005년 9월 현재 2.5%로 높아졌다. 이는 매년 투자액의 2.5%를 수수료로 뗀다는 것을 말한다. 주식형 펀드의 수수료는 판매수수료 1.8%, 운용수수료 0.6%, 수탁수수료 0.1%로 구성된다. 펀드 투자액이 1000만원이라면 18만원은 은행이나 증권사가 챙기고, 6만원은 자산운용사가 떼며, 1만원은 결제 은행이 가져간다. 판매만 전담하는 은행·증권사가 투자전략을 세우고 직접 수익을 내야 하는 자산운용사보다 3배 많은 수고비를 받는 셈이다. 한편 펀드 선진국인 미국의 연평균 보수율은 대체로 1.25% 정도를 유지, 우리나라의 절반정도에 해당되는 수수료를 받고 있다.

  • 제로슈머[zerosumer]

    0을 뜻하는 '제로(Zero)'와 소비자를 뜻하는 '컨슈머(Consumer)'의 합성어로 ...

  • 재정보강

    기금이나 정책금융 확대, 세제 지원 등을 통해 재정지출을 늘리는 방안. 추경과 달리 국회 ...

  • 잠재성장률[potential growth rate]

    한나라의 경제가 보유하고 있는 자본, 노동력, 자원 등 모든 생산요소를 사용해서 물가상승을...

  • 주가지수연동 정기예금

    주가지수연동정기예금은 일반적인 정기예금처럼 사전에 예금금리가 확정되는 상품이 아니라 주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