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변액보험

[variable life insurance, VL]

고객의 보험료 중 일부를 주식이나 채권 등의 금융상품에 투자한 후 그 수익을 계약자에게 나눠 지급하는 실적배당형 보험상품을 말한다.

기존 보험이 보험사들 책임 아래 채권에 투자해 안정적인 수익을 얻는 데 반해, 변액보험은 투자결과에 대한 책임이 가입자에게 있으며 높은 수익을 추구한다. 따라서 고객에게 자산 운용 형태 선택권이 주어지지만, 자금 운용에 따른 비용 때문에 기존 보험보다 보험료가 비싸고 때에 따라서는 원금 손실도 일어날 수 있다.

보장 종류와 지급 방식에 따라 변액종신보험, 변액연금보험, 변액유니버설보험 등으로 나뉜다.

  • 벌칙효과[penality effect]

    무디스가 국가신용등급을 두단계 상향 조정했는데,"벌칙효과(penality effect)"를...

  • 백지위임장투쟁[proxy fight]

    인수하고자 하는 기업에 대한 통제권을 장악하는 데 쓰이는 기술. 인수자는 자신에게 유리한 ...

  • 보험증권[policy]

    보험계약의 성립과 그 내용을 증명하기 위하여 보험회사가 작성, 기명날인하여 보험계약자에게 ...

  • 부유식 이산화탄소 저장·주입 설비[floating CO2 storage unit, FCSU]

    육상 터미널에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고갈된 해저 유·가스정에 저장하는 신개념 해양 설비를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