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확정일자

 

어떤 증서에 대해 그 작성된 일자에 관한 완전한 증거력을 가지고 있다고 법률이 인정하는 일자를 말한다. 즉 확정일자인(印)이 있는 공증문서는 공공력이 생기고 이때 기입한 일자를 확정일자라고 부른다. 따라서 전세계약 등을 할 때 계약서를 작성하고 난 뒤 확정일자인이나 공증인이나 찍어야 그 거래가 사회적.법적 효력을 발휘하게 된다. 전세계약시에는 동사무소에 전입신고를 하면서 계약서 원본을 들고가 계약서상에 확정일자를 받으면 된다.

  • 화이트 박스[White Box]

    중국업체들이 상표없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만을 사용하여 생산하는 저가형 태블릿PC

  • 한계 근로자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어 지난 1년 내 취업할 수 있었지만 적극적으로 일자리를 찾지 않거나...

  • 하이퍼클로바X[HyperCLOVA X]

    네이버의 초대규모(Hyperscale) 언어모델인 하이퍼클로바 X(HyperCLOVA) 기...

  • 환재정거래

    일정 시점에서 각국 환시세의 불균형을 이용하여 그 차익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행하여지는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