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확장성 표시언어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XML은 HTML의 한계를 보완해 등장한 차세대 인터넷 언어로, 데이터를 구조화하여 저장하고 전달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다.

HTML처럼 태그를 사용하지만, 정해진 태그만을 사용하는 대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직접 태그를 정의할 수 있다는 점이 큰 특징이다.

사람도 읽을 수 있고 기계도 처리할 수 있어 문서의 호환성과 확장성이 뛰어나며, 홈페이지 구축은 물론 검색 기능까지 크게 향상시킨다. 특히 인터넷상에서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자유롭게 다룰 수 있어 B2B 솔루션에 적합하다.

전자상거래, 웹 서비스, 금융 보고(XBRL)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데이터 표준으로 활용되며, 대량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분석해야 하는 정부기관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관련어

  • 한국판 뉴딜정책

    정부가 2020년 7월 14일 코로나19로 주춤해진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발표한 정책...

  • 한국생산성본부[Korea Productivity Center, KPC]

    산업계의 생산성 향상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1957년 설립된 산업통상자원부...

  • 현지법인

    해외직접투자의 결과로 해외현지에 해당국의 법에 따라 설립한 독립된 법인체를 말한다.

  • 환경경영[environmental management]

    생산단계에서 소비단계에 이르기까지 제품생산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원 감소와 청정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