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역외적용

 

외국인 또는 자국의 영역 밖에서 행해지는 행위에 대하여 자국의 법률을 적용하는 것을 역외적용이라고 한다. 법률은 본래 자국인이나 자국의 영역내에서 발생하는 행위에 대해 적용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기업활동이 국제화하면서 자국 영역밖의 반경쟁적 행위가 자국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이러한 행위를 규제하기 위해 역외적용 문제가 대두됐다.

역외적용을 적용하는 태도는 자국내에서 행해지는 행위에 대해 적용하는 속지주의와 자국의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에 적용하는 효과주의로 나뉘어진다. 영국등은 속지주의를, 미국·독일등은 효과주의를 택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우리나라의 기업활동에 대해서 역외주의 적용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양국간 마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이란 핵 합의[Joint Comprehensive Plan of Action, JCPOA]

    이란 핵 합의(JCPOA)는 2015년 7월, 이란과 미국·영국·프랑스·중국·러시아·독일(...

  • 엑시노스5 옥타

    8개 코어를 집적한 옥타코어(Octa-Core, 8개의 코어) 모바일 AP로 삼성전자가 2...

  • 아이오닉 5[IONIQ 5]

    현대자동차의 첫 차세대 전기차. 2021년 2월 23일 온라인을 통해 최초로 공개됐다. ...

  • 음극재[anode materials]

    2차전지 충전 때 양극에서 나오는 리튬이온을 음극에 저장했다가 방출하면서 외부회로를 통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