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금외신탁

 

금전신탁 이외의 금전의 신탁’이 정식 명칭. 고객이 은행에 돈을 맡기면서 회사채를 비롯한 채권이나 주식, 어음, 대출 등 운용수단을 지정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은행의 금전신탁은 모두 만기가 최소 1년 또는 1년 6개월 이상으로 되어 있으나 금외신탁은 만기가 지정돼 있지 않은 것이 특징으로, 고객이 수탁할 때 언제 찾아가겠다고 통보하면 은행은 그 기간에 지정된 운용수단으로 운용하고 만기가 되면 현물 또는 현금 어느 쪽이든 선택해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중도해지 수수료라는 것이 없고 만약 고객이 은행에 통보한 기간 이전에 찾고자 할 경우 은행은 현물을 그대로 내주든가 고객의 손해 여부에 상관없이 현금화해서 돌려준다.

  • 경제적 유인[incentive]

    처벌 가능성이나 보상과 같이 사람이 행동하도록 만드는 경제적인 그 무엇을 의미한다. 합리적...

  • 국가파산제

    1995년 캐나다 핼리팩스에서 열린 G7 정상회담에서 미국이 제안한 것으로, 멕시코처럼 재...

  • 공무원·군인연금 충당부채

    공무원·군인연금 가입자에게 장래 연금수급기간에 지급할 연금을 현재 가치로 평가한 금액이다....

  • 기억력의 함정[recallibility trap]

    과거 경험했던 재해나 극적인 사건을 지나치게 염두에 두고 미래를 전망한 결과 예측이 비관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