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내총소득

[gross domestic income, GDI]

국내 거주인이 1년 동안 벌어들인 소득으로 실질 국내총생산(GDP)에 실질 무역 손익을 더한 개념. 국민들의 실질구매력을 보여주는 소득지표이다. 즉 수출입 가격의 변화로 인해 실질소득 가운데 해외로 유출되었거나 해외에서 유입된 소득을 국내총생산과 합한 것이다.

과거 자동차를 1백대 수출한 돈으로 원유 1백톤을 들여올 수 있었지만 이제는 가격변동으로 자동차 2백대를 수출해야 같은 분량의 원유를 도입할 수 있다면 실질 국내총소득은 자동차 1백대 수출분만큼 감소한 셈이다. 여기서 자동차 2백대는 생산지표인 실질 국내총생산(GDP : gross domestic product)으로 이해하면 된다.

  • 국적선[national flag carrier]

    국적선이란 자국의 국기를 달고, 자국의 선원을 태우며, 자국에 근거를 둔 선박을 일컫는다....

  • 관리수익

    사모펀드(PEF) 또는 벤처투자펀드의 운용을 맡은 운용사가 펀드조합원들에게 받는 수수료. ...

  • 금전신탁[money trust]

    은행이나 신탁업인가를 받은 증권사들이 고객에게서 금전을 신탁재산으로 예탁받아 이를 대출, ...

  • 계열회사[affiliated company]

    한 회사가 다른 회사의 의결권 주식을 지배주주보다 적은 양을 가질 때, 또는 두 회사가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