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C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필요한 소수의 명령어들만을 한 명령어군에 포함시켜 한 주기의 클럭에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의 CPU 아키텍처이다. 1970년대 중반부터 IBM을 비롯한 컴퓨터 관련기업 및 각 대학에서는 컴퓨터가 자료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들 중 20%의 명령어가 전체 사용횟수(실행시간)의 80%를 차지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에 따라 간단한 명령문들만을 명령어 세트에 포함시키면 전체 실행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리라는 의견이 대두되었고, 이러한 발상에서 생겨난 새로운 형식의 칩이 바로 RISC이다. RISC 칩은 복잡한 명령어들을 명령어 세트에서 제거해 버림으로써 명령어의 실행속도를 증가시켰기 때문에 CAD와 같이 단순하지만 실행속도가 빨라야 하는 프로그램에 적합하다. 따라서 현재 CAD용 워크스테이션의 CPU 아키텍처로서 RISC가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
R&D 프로젝트 금융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와 민간 사업화 투자를 연계해 연구개발 투자 사업화 성공률을 높이고, ...
-
RP상품
증권사들이 판매하는 확정금리형 상품이다. 일정금리에 다시 되사주는 조건으로 판매한다. RP...
-
RV[Recreational Vehicle]
본래 레져용 차량으로 미국에서 볼 수 있는 버스형태의 이동 가옥을 뜻했으나 지금은 지프, ...
-
R램[Resistance RAM, R RAM]
산화물에 가하는 전압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통로가 생성되고 없어짐에 따른 재료의 저항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