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물 책임법
[product liability, PL]제조물의 결함으로 인해 소비자가 인명, 신체 또는 재산상의 손해를 입었을 때 제조물 생산자 또는 유통업자가 배상을 하는 최상의 소비자 보호제도. 'PL법'이라고도 한다.
통상적으로 제조물과 관련해 발생한 폐해를 배상받으려면 소비자가 제조자의 과실을 입증해야 했지만, 이 법이 시행되면 제조자의 과실이 없더라도 ‘제조물의 결함’만 객관적으로 입증되면 제조자가 배상책임을 져야 한다.
제조물 범위는 술, 담배, 자동차 브레이크, 고엽제, 의료기, 각종 식품류까지 다양하다.
미국은 1960년대부터 PL법을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0년 1월 법률을 제정했고 2년 6개월 뒤인 2002년 7월 1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
전기차용 윤활유
기존 내연기관 차량에 들어가는 윤활유(엔진오일)와는 성격이 다르다. 냉각과 2차전지 ...
-
잔여이익모델[Residual Income Model, RIM]
기업의 미래 예상실적을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출한 초과이익을 통해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
-
증여의제
증여의제란 법률상 증여가 아니지만 경제적으로 증여와 동일한 효과가 있어 세법상 증여로 간주...
-
정치적 주요 인물[Politically Exposed Persons, PEPs]
금융기관 준법 감시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국가에 의해 중요한 공적 기능을 맡은 사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