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가속상각법

[accelerated depreciation]

기계, 설비 등을 감가상각하는 방법의 일종으로 내용연수 초기에 많은 금액을 상각하고 내용연수가 지날수록 상각비를 줄여 회계상 반영하는 원가배분법을 말한다.

기계나 설비 같은 고정자산은 대체로 초기에 능률이 높고 사용기간이 경과할수록 점차 능률이 떨어진다. 즉 고정자산의 수익창출 능력은, 초기에는 크지만 후기에는 크게 떨어진다는 가정에서 출발해 감가상각을 하더라도 초기와 후기에 차별을 두자는 것이 가속상각법이다.

그러나 가속상각법은 회사의 창업 초기에 다액을 상각함으로써 회계상 손실이 커지게 한다는 단점이 있다. 정률법, 연수합계법, 이중체감법 등이 가속상각법의 효과를 가지는 상각법이다.

  •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산업현장의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직무능력(지식, 기술, 태도)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도출...

  • 고위기술품목

    OECD는 기술수준 정도에 따라 수출상품을 고위기술 품목, 중고위기술 품목, 중저위기술, ...

  • 기준가

    펀드의 현재 가치. 지금 내가 가입하려는 펀드는 이미 다른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서 투자...

  • 계절조정[seasonal adjustment]

    계절적 변동을 제거하여 자료에서 계절의 영향을 받지 않는 변화에 대한 정확한 관찰을 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