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회계감사감리

 

외부감사인(회계법인)이 기업의 회계감사를 올바르게 했는지 여부를 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결산기 때마다 회계법인은 해당 기업이 기업회계기준에 맞게 결산보고서(재무제표)를 작성했는지 회계감사를 실시한다. 이 회계감사에 대해 한국공인회계사회와 증권감독원은 회계감사감리를 실시하게 된다. 한국공인회계사회는 증권거래소에 상장돼 있지 않은 비상장회사 회계감사를 담당한 회계법인의 감사보고서를, 증권감독원은 상장을 준비중인 기업(기업공개 예정기업)이나 이미 상장돼 있는 기업의 회계감사를 맡은 회계법인의 감사보고서를 감리한다.

회계감사감리는 분식결산의 의혹이 가는 기업회계감사보고서를 위주로 연중 수시로 실시한다. 동종업계에 비해 부채비율 또는 재고자산비율이 높거나 매출대비 현금흐름비율이 낮은 기업의 회계감사보고서는 우선감리대상이다. 부실회계감사로 적발되면 회계법인이나 담당 회계사에게는 등록취소, 업무정지, 형사고발, 각서징구 등의 조치가 내려진다.

  • 흡입성 먼지

    지름이 10㎛(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보다 작은 '부유먼지'와 지름이 2....

  • 환율변동 요인

    외국돈의 가격인 환율은 물건값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외국돈의 수요와 공급에 의하여 결정된...

  • 한계비용[marginal cost]

    재화나 서비스 한 단위를 추가로 생산할 때 필요한 총비용의 증가분을 말한다. 기업은 수입에...

  • 활동소득[active income]

    급여, 임금 그리고 수수료 등과 같이 근로활동에 의해 얻어지는 소득. 이자소득이나 부동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