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관리무역주의

[system of controlled trade]

관리무역주의란 국민 경제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국가가 일정한 계획에 의거하여 직접적으로 대외무역을 관리, 통제하는 제도이다. 단적으로 말해, 국가가 수출은 장려하고 수입은 통제하는 제도라 할 수 있다. 이는 1929년 세계 대공황 이후 등장하여 2차 대전 후에 일반화된 방식으로 우리나라도 이를 실시하고 있다.

오늘날 관리무역주의는 보호무역주의화하여 가능한 한 수출을 장려하고 수입은 통제하려는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관리무역주의의 구체적인 목적은 국내산업을 보호·육성하고, 수출입의 균형을 도모하며, 국제수지 균형을 맞추고, 외환시세를 안정시키는 데 있다. 그 내용으로는 대개 수출입 기별공고, 수출입 허가승인, 수입통제 제한제도, 수출장려제도, 수입담보금제도 등을 들 수 있다.

  • 기간통신사업[facilities-based telecommunications business]

    전기통신회선설비를 설치하고 이을 이용하여 전신, 전화 등과 같이 공익성이 큰 기간통신역무를...

  • 고정직불금

    쌀 생산량 및 가격의 변동과 상관없이 논농업에 종사하는 농업인등에게 직접 지급하는 보조금을...

  • 기준가격

    투자금액의 운용 결과 얻어지는 총자산에서 비용을 공제한 신탁재산 순자산총액을 설정 좌수로 ...

  • ​국제비상경제권한법[International Emergency Economic Powers Act, IEEPA]

    1977년에 제정된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는 미국 대통령이 국가 안보, 외교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