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해외증권

 

국내기업이 자금조달을 위해 해외에서 발행한 증권을 말한다. 해외증권은 크게 주식연계증권과 주식비연계증권으로 나뉜다. 주식연계증권은 말 그대로 주식과 관련된 증권으로 일정 기간 후 주식으로 전환이 가능한 전환사채(CB), 신주를 받을 수 있는 신주인수권부채권(BW) 등이 있다. 주식예탁증서(DR) 역시 주식연계증권의 일종이다. 주식비연계증권은 ‘straight bond’라고 불리는 데 국내기업이 국내에서 발행하는 회사채와 그 성격이 같다. 따라서 발행기업의 신용도에 따라 금리가 차등화된다. 양키 본드, 사무라이 본드 등이 국제금융시장에서 발행되는 대표적인 주식비연계증권이다.

한 나라의 기업이 해외에서 증권을 발행할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대외 신인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198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해외증권을 발행하지 못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해외증권을 발행하면 국내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보다 금리(연 5% 안팎)가 싸기 때문에 해마다 발행 규모가 늘어나고 있다.

  • 환차손익

    외환차손익은 외화자산의 회수나 외화부채의 상환시에 발생하는 손익을 의미하며 외화환산손익이란...

  •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반도체 등의 집적회로(IC) 제조공정에서 열ㆍ전기로 원료 가스의 화학작용을 일으켜 웨이퍼 ...

  • 황금수갑[golden handcuffs]

    높은 연봉이나 다양한 복지 혜택 등 매력적인 조건 때문에 직장을 쉽게 떠나지 못하는 상황을...

  • 환차손[foreign exchange losses]

    환율변동에 따른 손해를 말하는 것으로 환차익에 반대되는 개념. 3개월 뒤 값을 치르기로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