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할당관세

[quota tariff]

물가 안정, 산업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 기본 관세율의 40% 범위 안에서 올리거나 내려 적용하는 탄력관세의 일종이다.

조정관세가 국내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관세율을 기본세율보다 높게 적용하는 것과 다른 점이다.

원활한 물자수급을 위해 특정 물품의 수입을 촉진할 필요가 있거나, 수입물품 가격이 급등하거나 이를 원재료로 한 제품의 국내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한 경우에는 기본관세율의 40%까지 낮춰 관세를 부과하고 반대로 일정 할당량을 초과하는 수량에 대해서는 기본관세율의 140%까지 높여 수입을 억제한다.

  • 항공안전종합평가[Universal Safety Oversight Audit Programme, USOAP]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국가별로 국제기준 이행실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는 종합평가...

  • 해외우려기관[Foreign Entity of Concern, FOEC]

    해외 기관 중 해외 우려국 정부의 관할에 속하거나 해외 우려국 정부에 의해 소유, 통제, ...

  • 하드 보더[hard border]

    국경관리들이나 경찰 또는 군인 등이 주재하면서 출입을 엄격히 통제하는 물리적 인프라가 있는...

  • 한·이스라엘 산업기술 협력 협정

    한국과 이스라엘 양국 간 기술 협력 강화를 위해 1999년 체결된 협정이다. 이 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