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피라미드 금융사기

 

1950년대 미국에서 계모임과 비슷한 사금융의 형태로 출발했었다. 어떤 사람이 1백만원의 입회비를 내고 피라미드 금융(회사)에 가입할 경우 통상 신규 가입자가 내는 입회비의 절반은 맨 처음 피라미드 회사를 조직한 발기인에게 돌아가고 나머지 절반은 신규회원을 소개한 기존회원이 갖는다. 이런 식으로 새 가입자들마다 다시 두 명씩을 끌어들여 5단계 모집을 하는 경우 발기인은 자기 돈을 한푼도 안 내고 1천5백만원을 벌게 된다. 만약 피라미드 조직의 모집단계를 5단계 정도에서 멈추지 않고 계속 아래로 뻗어나가는 한편 신규모집인원도 한 사람당 10여명씩으로 크게 늘릴 경우 발기인이나 중간모집책이 착복하는 돈은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나게 된다. 문제는 시간이 흐르면서 새 회원모집이 한계에 부딪히게 될 수밖에 없다. 결국 마지막에 들어간 가입자들은 자신의 입회비도 건질 수 없게 된다.

  • 플릭사비[Flixabi]

    삼성바이오에피스가 2016년 8월 유럽에 출시한 레미케이드의 바이오시밀러다. 레미케이드는 ...

  • 플레인 바닐라채권[plain vanilla bond]

    보통 91일물 양도성예금증서(CD)에 가산금리를 더하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채권. 중도 ...

  • 포항4세대방사광가속기

    2013년부터 가동한 경주양성자가속이에 이어 2017년부터 가동을 시작한 우리나라의 두번째...

  • 팔로우[follow]

    누군가를 따른다는 뜻으로 특정 트위터 이용자의 글을 보겠다는 것이다. 자신이 다른 사람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