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총공급

[aggregate supply]

거시 경제학에서 주어진 기간에 각 가격수준에서 시장에 제공되는 재화와 용역의 총합계. 총생산이라고도 한다. 공급측 경제학에서 중심적 개념은 소비자와 공급자의 상품을 포함해서 주어진 기간중 각 소득수준에서 요구되는 경제 내의 재화·용역의 총합계로 정의된다. 총수요는 또한 총지출이라고도 한다. 총공급곡선은 가격수준과 기업이 제공하고자 하는 산출량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 출자전환[debt-equity swap]

    채권 금융기관이 부실기업에 빌려준 돈을 주식으로 전환하는 것. 기업은 빚을 덜고 금융기관은...

  • 초과이윤세[windfall profit tax]

    일정 기준 이상의 이익을 얻은 법인이나 자연인에 대하여 그 초과분에 보통소득세 외에 추가적...

  • 창의 자본[Invention Capital]

    아이디어 특허권을 매입한 뒤 부가가치를 높여 지식을 필요로 하는 기업에 사용권을 팔아 수익...

  • 치마끝선 법칙[Hemline theory]

    패션 행사에 참가한 여성 모델들이 다음 해 유행할 옷으로 입고 나온 치마의 길이가 전반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