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중간배당제

 

결산기의 중도에 배당을 하는 행위, 또는 그 배당을 말한다. 1998년 말 개정된 상법에서 처음 명시되었다. 이에 따라 12월 결산법인 가운데 현대중공업 46개사가 정관에 중간배당을 규정했다. 상법에선 중간배당을 영업연도중 1회만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정관에 정한 날이 중간배당 기준일이 되며 배당금 지급시기는 이사회에서 결정한다.

또한 반드시 현금으로 배당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분기 실적을 기준으로 중간배당을 실시하는 미국과 달리 직전 결산기의 미처분이익을 재원으로 하고 있어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사업연도중에 배당을 실시했다가 경영상황 급변으로 인한 손실이 발생하면 책임을 져야 하기 때문이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경리사무와 연결, 결산준비의 간소화 등을 위해 연 1회 결산하는 회사가 늘고 있다.

  • 조정자기자본비율

    금융기관 특성상 단순자기 자본비율만을 통해선 자본의 적정성을 충분히 평가하기가 힘들다. 조...

  • 전신스캐너[full body scanner]

    물리적 접촉없이 알몸 영상을 볼 수 있는 장치. 극고주파수 전파를 이용하는 밀리미터파(Mi...

  • 집합증권투자[Collective Investment Schemes, CIS]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끌어모아 기금을 조성한 뒤 유가증권에 투자해 이익금을 나...

  • 주당순이익[earnings per share, EPS]

    해당 사업연도에 발생한 당기순이익을 발행총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주당순이익은 1주가 1년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