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가교은행

[bridge bank]

파산한 은행의 자산과 부채를 일시적으로 인수하여 합병, 채권채무처리 등 후속조치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임시적인 은행이다.

A라는 은행이 파산 또는 인가취소를 당하는 경우 예금보험기구가 나서 B라는 가교은행을 설립, 채권·채무를 인수한 뒤 적당한 임자를 찾아 A은행을 넘기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가교은행은 A은행의 자산과 부채 규모를 감안해 적정한 선의 예금인출 동결조치를 취한 상태에서 가교은행 명의로 예금 입·출금, 수출입업무 등 최소한의 업무를 지속한다.

사회경제적인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은행업무를 정상적으로 지속함으로써 추후 다른 은행에 합병될 때까지 사업권 가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기존 고용관계를 완전 파기함으로써 새 인수자의 부담을 덜어주는 등 제3자 인수를 위한 사전정지작업도 할 수 있다. 물론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청산절차를 담당한다.

그러나 가교은행은 인근 지역에 다른 은행이 없는 경우에 주로 활용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경우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 그린 슈트[Green shoots]

    겨울에 얼어붙었던 땅을 뚫고 봄에 새싹(green shoots)이 돋아나듯 경기가 침체에서...

  •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OPEC의 일방적인 유가인상 및 금수조치에 공동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서방의 주요 석유소비...

  • 공정가치[fair value]

    합리적 거래를 전제로 다른 당사자간 자산이 거래될 수 있는 가격을 말한다. 즉 시장 가격에...

  • 국제정보디스플레이 학술대회 및 전시회[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IMID]

    우리나라에서 개최하는 디스플레이 학술 및 전시회. 일본 FPD(Flat Panel Di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