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적정최고가방식

 

정부 재산을 매각할 때 응찰가격을 높게 쓴 입찰자 중 일부를 대상으로 평균가격을 산출한 다음 이 가격에 가장 가까운 응찰자를 낙찰자로 선정하는 방식. 부찰제와 비슷한 방식이다. 정부재산을 매각하는 방법으로 일반경쟁입찰, 제한경쟁입찰, 지명경쟁입찰, 수의계약 등이 있으며 이중 입찰자격에 제한을 두지 않는 일반경쟁입찰방식이 가장 많이 쓰인다. 이런 재산매각 방법은 참여대상을 기준으로 분류한 것이다. 다른 분류방식은 낙찰자 선정방법에 따라 최고가방식, 심사 및 선정방식, 적정최고가방식, 예정가방식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 지구공학[geoengineering]

    인류의 필요에 맞도록 지구의 환경을 대규모로 변화시키는 공학 기술이다. 대기-땅-바다로 이...

  • 주인-대리인 문제[principal-agent problem]

    계약관계에서 권한을 위임하는 사람을 주인(principal)이라고 하며 권한을 위임받는 사...

  • 자기자본경상이익률[ordinary income to stockholders’ equity]

    경상이익의 자기자본에 대한 비율로서 출자자 또는 투자자들이 투하자본에 대한 수익성을 측정하...

  • 잔사유

    원유에서 휘발유 경유 등유 같은 경질유를 정제하고 남은 찌꺼기 기름 . 벙커 C유와 아스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