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잠식
[impaired capital]회사의 적자폭이 커져 잉여금이 바닥나고 납입자본금이 마이너스가 되는 상태를 말한다. 기업의 자본은 납입자본금과 내부에 보유된 잉여금으로 구성된다. 만일 회사의 적자폭이 커져 잉여금이 바닥나고 납입자본금까지 까먹기 시작하면 이러한 상태를 자본잠식 혹은 부분잠식이라고 한다.
특히 누적적자가 불어나 잉여금은 물론 납입자본금까지 모두 잠식하게 되면 결국 자본이 바닥을 드러내게 된다. 이 경우 자본총계가 마이너스 상태가 되는데 이를 자본전액잠식 또는 완전자본잠식이라고 한다. 코스닥 등록 기업의 경우 자본전액잠식인 경우 즉시 퇴출,자본잠식률이 50% 이상인 일부잠식은 관리종목 지정 사유가 된다. 거래소 상장기업의 경우엔 자본전액잠식이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고 1년 후에도 전액잠식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면 퇴출 사유가 된다.
-
지방소득세
납세의무가 있는 개인과 법인이 소득에 따라 내야 하는 지방세다. 개인의 경우 소득세 과세표...
-
주식매수청구권[claims for stock purchase]
합병, 영업양수도 등 주주총회의 특별 결의사항에 대해 반대 의견을 갖고 있는 주주가 보유주...
-
자기암시가설
물리학에서의 관성처럼 인간의 인지도 관성의 법칙을 따른다는 것으로 조지 소로스가 그의 저서...
-
정보수명주기관리[Information Lifecycle Management, ILM]
적시에 적절한 스토리지 장치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말한다. 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