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일반특혜관세제

[generalized system of preference]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의 수출증대 및 공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개발도상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완제품·반제품에 대해 아무 반대급부없이 일반적으로 관세를 면세해주거나 낮은 세율을 적용하는 제도. 1968년 2월 뉴델리에서 열린 제2차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총회에서 채택돼 오늘날까지 시행되고 있다. 현재 개도국에 GSP를 제공하는 국가는 미국· 유럽연합·일본 등 모두 26개국이며 수혜국은 우리나라를 포함, 1백40여 국에 이르고 있다. 수혜기간은 원칙적으로 10년을 한 기간으로 하며 기간이 끝날 때마다 추가로 10년 단위로 연장하는 것이 보통이다.

  • 오마주[Hommage]

    프랑스어로 ‘감사, 경의, 존경’을 뜻하는 말로 영화에서 존경의 표시로 다른 작품의 주요...

  • 인컴펀드[income fund]

    채권, 부동산투자신탁(리츠), 고배당주 등에 투자해 일정 기간 마다 수익 또는 이자를 챙길...

  • 야간선물시장

    미국 시카고상업거래소(CME)와 연계해 국내 시간으로 오후 6시부터 다음 날 오전 5시까지...

  • 아이패드 키즈[iPad kids]

    2010년~2025년에 태어난 아이들인 알파세대 중에 가장 먼저 태어난 2010년생 구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