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과세
종합과세는 근로·사업·이자·배당·연금 등 개인이 얻는 다양한 소득을 모두 더한 뒤, 누진세율을 적용해 한 번에 과세하는 방식이다. 소득이 많을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돼, 고소득자일수록 더 많은 세금을 내는 구조다.
현재 우리나라 소득세법은 소득 수준에 따라 6%에서 45%까지 세율이 적용되며, 여기에 지방소득세(10%)를 더하면 최고 49.5%까지 세부담이 올라간다.
예를 들어 직장인 A씨가 연봉 외에 부동산 임대소득이나 배당소득 등을 추가로 얻었다면, 이 모든 소득을 합산해 종합과세 대상이 된다. 소득이 클수록 세금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자산가나 다소득자는 종합과세 구조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세율을 적용받게 된다.
정부는 이를 통해 조세 형평성을 확보하고, 소득 재분배 기능을 수행한다는 입장이지만, 고소득자 입장에선 이중과세·세부담 과중 논란도 여전하다.
-
잘파세대[Zalpha Generation]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Z세대’와 2010년 이후 출생한 ‘알파...
-
자동긴급제동장치[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EB]
차량 전면부에 부착한 레이더가 위험을 감지하면 운전자에게 소리나 진동으로 보내 속도를 줄이...
-
중금채
중소기업은행이 발행하는 채권.중소기업에 대한 투자와 중장기 대출 재원을 마련할 수 있도록 ...
-
자산·부채종합관리[asset & liability management, ALM]
자산·부채 종합관리는 금리 및 자금수급 등의 여건 변화 시 금융기관의 수익이 극대화되도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