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외환집중제

[foreign exchange concentration system]

민간이 외국돈(외환)을 보유하는 것에 국가가 일정한 제한을 가하는 제도를 말한다. 외환집중방법으로는 민간의 외환보유 한도를 정하기도 하고 보유한도는 정하지 않되 일정 금액 이상은 신고토록 하기도 한다. 또 두 가지를 병행하는 경우도 있다. 외환집중제에는 크게 예치집중제와 매각집중제가 있다. 예치집중제는 수출업체 등이 받은 외국돈을 외국환은행에 개설한 계좌에 의무적으로 예금해놓도록 하는 제도다. 우리나라는 1961년 2월까지 이같은 예치집중제를 실시했다. 매각집중제는 외환을 외국환은행에 매각, 국내돈으로 바꾸어가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를 말한다.

  • 알고리즘 트레이딩[algorithmic trading]

    일정한 규칙에 따라 주식시장에서 투자의 판단, 호가의 생성 및 제출 등을 컴퓨터 시스템에서...

  • 아부다비 투자청[Abu Dhabi Investment Authority, ADIA]

    21년 말 기준으로 자산규모 8,280억불로 세계 3대이자 UAE 최대의 국부펀드. 전 ...

  • 요구자본

    보험, 금리, 신용, 시장, 운영위험액등의 구분에서 보험회사에 내재된 리스크량을 측정하여 ...

  • 인디언 카지노[tribal casino]

    미국 연방정부가 캘리포니아 등 미국 전역에 산재해 있는 인디언 자치구역 정부에 세입방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