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외화표시 원화자금

 

국산기계 구입이나 자동화 설비에 필요한 자금을 외화금리 조건으로 기업들에 값싸게 지원해주는 대출방식을 말한다. 거치기간 이후 매분기마다 원리금을 만기까지 분할상환하며 상환시점의 리보(런던은행간 금리)에 가산금리를 적용한다는 점에서 원화자금과 달리 국제금리변동에 의해 금리부담이 좌우된다. 특히 국내외 금리차가 크고 환율이 절상될 경우에는 외화표시 원화자금을 쓰는 기업은 상당한 이득을 보게 된다. 그렇지만 해외부문에서 통화가 증발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정부 마음대로 지원규모를 늘릴 수 없는 실정이다. 지원절차는 산업은행이 외화를 조달하여 일정금리를 얹어 일반은행에 대출하고 이를 중소기업 등에 융자해주는 방식이다.

  • 임원보수한도

    상근이사와 비상근 이사, 사외이사를 비롯한 등기이사에게 지급할 보수의 상한액을 말한다. 이...

  • 유니버설보험[universal life insurance]

    보험료의 납입과 적립 및 인출이 자유로운 상품으로 유연성, 유동성, 보장성이 결합된 보험상...

  • 유동성 트란셰[Liquidity Tranche]

    한국은행은 이번 미국에 대한 테러사건으로 국내 외환시장의 불안감이 감지될 경우 즉각 ''유...

  •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ment, impact investing]

    투자행위를 통해 수익을 추구하는 것뿐 아니라 사회나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업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