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프트노믹스
[Swiftonomics]미국 팝가수 테일러 스위프트의 공연 및 활동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하는 용어. 테일러노믹스 (Taylornomics)라고도 한다.
막강한 티켓 파워로 인해 스위프트는‘걸어다니는 대기업’으로 불리며, 공연이 열리는 지역마다 그의 팬덤으로 인해 식당, 호텔 등의 매출이 급등했다.
스위프트의 팬덤을 뜻하는 ‘스위프티(Swiftie)’는 영국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이 선정하는 ‘올해의 단어’ 후보에 올랐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경제동향 보고서인 ‘베이지북’에서 스위프트노믹스를 언급해 화제가 됐다.
2023년 스위프트의 월드 투어 ‘디 에라스 투어’는 8개월간 60회 공연 만에 역대 최고 매출 기록을 경신했다. 에라스 투어가 창출하는 경제 효과는 10억4000만 달러(약 1조3700억원)를 기록했다.
스위프트의 공연은 평균 관객 7만 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경기장에서 열리고 있다. 에라스 투어의 입장권 평균 가격은 238.95달러(약 31만4000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공연은 올해 미국 국내총생산(GDP)을 43억~57억 달러(약 5조6000억~7조4000억원)가량 늘린 것으로 추산된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은 2023년 ‘올해의 인물’에 테일러 스위프트를 선정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 찰스 3세 영국 국왕, 바비 등 쟁쟁한 9명의 후보를 제쳤다.
관련어
- 동의어테일러노믹스
-
승수[multiplier]
승수효과 또는 multi-plier principal이라고도 불리고 재무와 투자에서 두개의...
-
시장 방향성 전략[Directional Strategies]
헤지펀드의 투자 전략중 하나로 운용 형태에 따라 또다시 몇 가지로 나뉜다. ▷글로벌 매크로...
-
신규 태평양 횡단 해저광케이블[New Cross Pacific Cable System, NCP Cable System]
아시아태평양과 북미 지역을 잇는 총 길이 1만4000㎞, 전송량 초당 80테라비트(1Tbp...
-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기기들이 사람의 개입 없이 센서 등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