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플라스틱 국제협약

[Global Plastics Treaty, UN Plastics Treaty]

플라스틱 국제협약은 플라스틱의 생산에서 소비, 처리와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주기를 아우르는 규칙을 마련하는 국제적 합의다. 2022년 3월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제5차 유엔환경총회에서 협약 제정이 결의되며 본격 추진에 들어갔다. 그러나 2025년 8월 현재까지도 플라스틱 생산량 상한(capping) 설정, 이행 수단, 재정 지원 범위 등 주요 쟁점에서 회원국 간 의견이 엇갈리며 최종안 채택에는 이르지 못했다.

이 협약은 흔히 ‘UN Plastics Treaty’라 불리며, 유엔 주도로 제정·이행된다는 점에서 상징적 의미를 가진다. 핵심 목표는 플라스틱 오염을 근본적으로 줄이고 인간 건강과 지구 환경을 보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플라스틱 생산과 소비의 전반적 축소, 재활용·재사용·회수의 획기적 확대, 그리고 플라스틱 오염에 특히 취약한 지역과 공동체의 보호를 내세운다. 협상 과정에서는 생산 감축 목표 설정, 국가별 이행 방식, 개발도상국 역량 강화 지원, 국제적 모니터링 체계 마련 등이 핵심 쟁점으로 다뤄지고 있다.

  • 피라미딩[pyramiding]

    상승 추세가 확인 되면서 수익이 나게 되면 추가로 매수하는 기법이다. 주식을 살 때마다 투...

  • 표면실장기술[Surface Mount Technology, SMT]

    전자기판 위에 부품을 올려 놓는 공정이나 시스템을 말한다. 조밀한 기판 표면에 다종의 부품...

  • 플렉스[flex]

    요즘 1020 세대에게‘돈을 쓰며 과시하다’ ‘지르다’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단어. `구부...

  • 팜에어·한경 한국농산물가격지수[KAPI, KAPI]

    농산물 가격 분석·예측 전문기업 팜에어(FarmAIR)가 작성하고 한국경제신문이 발표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