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선물환

 

거래체결일로부터 2영업일을 초과하는 특정일에 사전에 약정한 환율로 외화를 매수 또는 매도하는 거래를 말한다.

선물환 매수는 미래의 수입결제, 당발송금 등 외화매수 예정건에 대한 환변동위험 헤지하기 위한 것으로 선물환율보다 만기환율이 높으면(만기환율 > 선물환율) 거래이익이 발생하고 만기환율보다 선물환율이 높을 때(만기환율 < 선물환율)는 거래손실이 발생한다.

한편 선물환매도는 미래의 수출네고대금, 타발송금 내도분 등 외화매도예정건에 대한 환변동위험 헤지하기 위한 것으로 선물환율이 만기환율보다 높으면(만기환율 < 선물환율) 거래이익이 발생하고 선물환율 보다 만기환율이 높으면(만기환율 > 선물환율) 거래손실이 발생한다.

선물환 매도는 조선업체들이 환손실을 막기 위해 자주 쓰는 방식이다. 조선사는 선박을 수주해도 실제 대금은 2~3년에 나눠 받는다. 조선사들은 이 기간 환율 하락으로 손해를 보는 걸 피하기 위해 달러를 미리 은행에 매도(선물환 매도)한다. 예컨대 수주 당시 원·달러 환율이 1200원이고 대금 수령 시 환율이 1180원이면 달러당 20원의 손실을 보는데, 이를 피하기 위해 만기 때 달러당 1199원(수수료 1원 가정)을 받는 조건으로 은행과 미리 신용거래를 하는 식이다.

  • 수확체증의 법칙[Increasing returns of scale]

    노동시간을 추가하면 산출량의 증가정도는 커지게 된다능 이론. 브라이언 아더 교수는 하이테크...

  • 성장성 특례상장

    실적이 좋지 않더라도 성장 잠재력이 큰 기업을 위해 상장 문턱을 낮춰 주는 제도다. 후보기...

  • 세계금융기구[WFA]

    이달 말 미국 위싱턴에서 열릴 국제통화기금(IMF) 연차총회를 앞두고 IMF를 대신할 새로...

  • 세번변경[change in tariff heading]

    세번이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물품분류 기호를 말한다. 세번변경이란 원산지규정 적용에 사용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