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엥겔계수

[Engel’s coefficient]

가계총소비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 지표로 주로 생활수준을 재는 척도로 이용된다. 가계지출 총액 중 저소득 가계일수록 식료품비의 비율이 높고 고소득 가계일수록 이 비율이 낮게 나타난다. 이는 1857년 독일의 통계학자 엥겔이 벨기에의 1백53개 근로자 가구를 대상으로 한 가계지출 조사결과 밝혀진 것으로 ‘엥겔의 법칙’이라고 불린다.

일반적으로 식료품은 생활필수품이어서 소득이 많든 적든 반드시 일정량을 소비하게 된다. 동시에 어느 수준 이상은 소비할 필요가 없는 상품이기도 하다. 따라서 보통 엥겔계수가 20% 이하면 상류, 25~30%는 중류, 30∼50%는 하류, 50% 이상은 극빈생활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은행과 통계청, 한국은행은 전체 가구를 대상으로, 통계청은 도시근로자자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산출한다.

  • 유전체 지도[genome map]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지도다. 유전자의 기능을 알아내면 질병 진단과 치료, 신약...

  • 유동성 장기부채[current maturities of long-term debt, current portion of long-term debt]

    사채, 장기금융기관차입금 및 기타 장기차입금 등의 고정부채 중 1년 내에 상환될 부채를 말...

  • 일 평균 방문자 수

    전체인터넷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여 추정한 일별 순 방문자수(Unique Visitor)를 ...

  • 어닝시즌[earning season]

    기업들이 분기별, 또는 반기별 실적을 발표하는 시기를 일컫는다. 기업들은 1년에 네 차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