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40 투자법
[60/40 portfolio]투자 자산의 60%를 주식, 40%는 채권에 투자하는 투자 준칙이다.
월가에서 전통적으로 가장 안전한 자산 투자 비율로 여겨지고 있다.
채권의 안정성과 주식의 수익성을 결합해 최적의 투자수익을 올리는 포트폴리오 이론을 적용했다. 주로 수조달러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는 기관투자가들이 활용한다. 대규모 연금을 장기 운용할 때 수익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자산운용사 뱅가드에 따르면 1926년부터 2020년까지 95년 동안 60 대 40 포트폴리오의 연평균 수익률은 9.1%를 기록했다.
인플레·경기침체 공포 겹치니…전통의 '6 대 4 투자법' 안통하네이미지 크게보기
60 대 40 포트폴리오는 경제 위기에도 건재한 투자법이었다. 주가가 내려갈 때 채권 가격이 올라 손실을 메웠기 때문이다. 뉴욕대 스턴경영
대학원의 연구에 따르면 1931년 경제 대공황 당시 S&P500지수는 1년간 43% 추락했다. 같은 기간 투자 자산의 60%를 S&P500에, 40%를 미국 10년 만기 국채에 투자했을 경우 수익률은 -27.3%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에도 S&P500지수는 35% 빠졌지만, 60 대 40 포트폴리오는 13% 하락하는 데 그쳤다. 자산운용사 KKR은 “2010년대 60 대 40 포트폴리오는 ‘황금비율’이라 불렸다”고 했다.
하지만 2022년 들어 평가가 달라졌다. 60 대 40 포트폴리오 모델의 투자수익률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나빠졌기 때문이다. 2022년 6월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2022년 4월부터 6월 19일까지 60 대 40 포트폴리오 수익률은 14% 하락했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기록한 최대 하락률(약 12%)을 밑돈다.
주식·채권 동반 하락에 수익률 악화
최근 60 대 40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이 큰 폭으로 떨어진 이유는 미국 주식과 채권이 동시에 하락했기 때문이다. 미국 S&P500지수는 올 들어 22.9% 내려앉았다. 같은 기간 톰슨로이터 10년 만기 미국 국채 지표는 14.6% 하락했다. 반등 없이 올해 말까지 하락세가 지속되면 1994년 이후 28년 만에 주식과 채권 가치가 동반 하락한 해가 된다. 당시 주가지수는 1.5%, 채권지수는 2.9% 떨어졌다.
인플레이션 탓이다. 인플레이션이 심화하자 주식과 채권 투자심리 모두 위축됐다. 블룸버그는 “인플레이션이 심화하자 채권이 보유한 헤징(위험 분산) 효과가 약화됐다”며 “미국 내 연기금 운용자산의 증발 위험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일각에선 여전히 낙관론을 펼치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둔화하면 미국 국채 투자심리가 회복돼 60 대 40 포트폴리오의 수익률도 개선될 것이란 관측이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컨센서스에 따르면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현 8%대에서 올 4분기 6.5%로 완화되고, 2023년에는 3.5%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존 빌튼 JP모간 글로벌자산운용책임자는 “채권은 여전히 훌륭한 분산 투자 수단”이라며 “인플레이션이 잦아들기 시작하면 채권이 포트폴리오의 핵심 자산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60GHz 대역 초고속 무선전송기술표준[ISO/IEC 13156]
60GHz 대역 초고속 무선전송기술표준은 전 세계 밀리미터파 대역 중 57∼66GHz 대역...
-
6차 산업
1차 산업인 농림수산업과 2차 산업인 제조·가공업, 그리고 3차 산업인 서비스업을 융·복합...
-
6·17 부동산 대책 (2020)
정부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 집값 상승세를 막기 위해 2020년 6월 17일 발표한 대...
-
60나노 반도체
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m를 뜻한다. 반도체에서 나노는 칩 안에 있는 여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