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전력구매계약

[Power Purchase Agreement, PPA]

전기사용자와 발전사업자가 특정 기간 동안 정해진 가격으로 전력구매계약을 체결하는 제도. 기존 우리나라에서는 전력시장 내에서 단일 전기공급사업자인 한전이 제공하는 전기만 활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PPA를 활용하면 발전사업자와 소비자인 기업과 가정간에 전기 직거래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우리나라는 재생에너지에 한해서만 PPA 방식 전력공급을 허용하기 때문에 기업은 PPA를 RE100을 이행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 주목하고 있다.

PPA는 크게 직접PPA와 제3자PPA로 구분된다.

직접PPA는 전기사용자와 발전사업자가 직접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이다.
전기사용자가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에게 직접 전력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기업의 재생에너지 사용량을 증대하고 RE100을 달성하는 데 효과적이이다.

제3자PPA는 전기사용자와 발전사업자 사이에 중개 사업자가 개입하는 방식이다. 전기사용자는 중개 사업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중개 사업자는 발전사업자로부터 전력을 구매하여 전기사용자에게 재판매하는 방식이다.

관련어

  • 주노[Juno]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무인 목성 탐사선. 2011년 8월5일 미국 플로리다...

  • 자살보험금

    일반사망보험 및 재해사망보험 가입 2년 뒤 자살한 경우 지급되는 사망보험금. 종신보험, 정...

  • 지적도

    지적법에 따라 토지의 경계와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토지의 필지마다 지번, 지목, 경계선 등...

  •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

    저작권 관련 산업의 진흥을 위해 1987년 설립된 단체로 학계, 법조계, 언론계 등 각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