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자이언트 스텝

[giant step]

금리를 한 꺼번에 0.75bp(베이시스 포인트)올리는 것.

경제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금리는 0.25bp씩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나, 인플레이션 등의 우려가 커질 때는 이보다 큰 폭으로 금리를 올리기도 한다.

2022년 4월 18일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연방은행 총재는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너무 높다”라며 “기준금리를 연말까지 3.5%로 올려야 한다”라고 말했다. 불러드 총재는 2022년 미국의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 참석해 투표권을 행사하는 12명의 위원 중 한 명이다.

그는 “연내 3.5%에 도달하려면 올해 남아 있는 FOMC(6회) 때마다 50bp(빅 스텝)씩 기준금리를 올리면 되지만 필요하다면 한 번에 75bp 인상도 배제해선 안 된다”라고 했다. Fed가 기준금리를 한 번에 75bp를 올린 것은 1994년 11월이 마지막이다.

살인적인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면 ‘빅 스텝’을 넘어 ‘자이언트 스텝’으로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관련어

  • 절벽효과[cliff effect]

    금융시장에서 발생한 사건 하나가 사람들 심리에 악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실물경제에 엄청난...

  • 지속가능채권[sustainability bond]

    친환경적 또는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사업부문에 사용할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특수...

  • 제한상영가

    18세 이상 관람가'' 영화 가운데 성기노출 등이 심한 작품에 내려지는 판정으로 해당 작품...

  • 전사인자

    유전자를 이루는 물질이 핵산에 붙어 특정유전자가 발현되거나 억제되도록 하는 유전자 발현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