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자이언트 스텝

[giant step]

금리를 한 꺼번에 0.75bp(베이시스 포인트)올리는 것.

경제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금리는 0.25bp씩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나, 인플레이션 등의 우려가 커질 때는 이보다 큰 폭으로 금리를 올리기도 한다.

2022년 4월 18일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연방은행 총재는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너무 높다”라며 “기준금리를 연말까지 3.5%로 올려야 한다”라고 말했다. 불러드 총재는 2022년 미국의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 참석해 투표권을 행사하는 12명의 위원 중 한 명이다.

그는 “연내 3.5%에 도달하려면 올해 남아 있는 FOMC(6회) 때마다 50bp(빅 스텝)씩 기준금리를 올리면 되지만 필요하다면 한 번에 75bp 인상도 배제해선 안 된다”라고 했다. Fed가 기준금리를 한 번에 75bp를 올린 것은 1994년 11월이 마지막이다.

살인적인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면 ‘빅 스텝’을 넘어 ‘자이언트 스텝’으로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관련어

  • 집적 이익[集積 利益, economies of concentration]

    어떤 지역에 산업이나 인구가 집중되면 서로가 분업(分業)되거나 노동력 및 소비의 시장이 이...

  • 주식옵션부 상환채[equity option redemption bond]

    전환사채와 보통사채의 중간형태로서 채권만기시 발행자가 주식으로 전환해주거나 현금으로 상환할...

  • 정밀의료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과 개인의 유전체 정보, 임상 정보, 생활습관 정보 등을 활용해 맞...

  • 재정위기

    재정은 정부가 세금으로 마련한 돈으로 일반행정비를 비롯하여 국방비, 교육비, 경제사업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