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비축유

 

정부가 유가 급등이나 공급중단에 대응하기 위해 비축해 두는 석유.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의 권고 비축유 기준은 국가별로 약 90일 소비에 해당하는 물량이며 대부분의 선진국도 3개월분을 전략비축유로 보유한다.

한국은 2022년 2월 기준 전략 비축유 물량이 약 9700만배럴로 일 국내소비량을 고려 시 106일까지 사용할 수 있는 물량이다.

비축유 방출은 현물 대여나 입찰을 통해 이뤄진다.

현물 대여는 정유사에 비축유를 빌려주고 유가가 안정되면 돌려받는 방식이며, 입찰은 최고가를 써낸 기업에 비축유를 파는 방식이다.

한국은 석유공사가 관리하면 울산 등에 비축기지를 두고 있다.

관련어

  • 방송형동보서비스[Cell Broadcasting Service, CBS]

    휴대폰을 통해 다수의 가입자들에게 문자메시지 형식으로 정보를 제공해주는 서비스다. 이동통신...

  • 비농업취업인구[nonfarm payroll employment]

    미국 노동부에서 매달 첫 번째 금요일에 발표하는 고용지표로 농업을 제외한 산업에서 임금근로...

  • 불화크립톤[KrF]

    크립톤과 불소의 화합물로, 무색의 가스이다.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노광제로 사용되는 ...

  • 본선인도가격[free on board, FOB]

    송장 가격이 특정한 시점과 그 이상까지 판매자의 비용으로 한 운반을 포함한다는 의미의 운송...